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해서 테스트를 할 때 가끔 TTL 레벨 시리얼로 어떤 데이터가 왔다갔다 하는지 확인해 보고 싶을 때가 있다.
그럴 때 어떻게 하면 좋을까 방법을 찾다가 TR을 이용하면 간단하게 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물론 한 20여년 전에..)
RX는 TTL 레벨의 시리얼 통신 시그널이고, MONITOR는 USB to Serial 컨버터 또는 시리얼 통신용 버퍼의 입력으로 사용한다.
앞서 설명했던 자료 중
https://romdori.tistory.com/87
USB to Serial
메가윈에 "MA111AS16"이라는 SOP-16 타입의 IC가 있다. USB to Serial 전용 IC이다. 예전에는 CP2102를 많이 사용했었는데 최근에 이 IC를 소개받고 몇개 구매해서 USB to Serial을 만들어 봤다. 대부분의 USB to Ser
romdori.tistory.com
이 보드의 RX 입력으로 MONITOR 를 연결한다. 그러면 PC에서 USB to Serial 컨버터를 통해 시리얼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이 회로를 이용해서 다중 시리얼 통신에서도 활용이 가능하다.
TTL레벨의 RX 핀을 wired or로 묶으면 신호가 죽어버린다. 이유는 찾아보면 나올 것이고. 그럴 때 위 회로를 이용해서 수신단을 만들어주고, TX단도 TR을 이용해서 만들어주면 된다.
그러면 보드상에 있는 여러개의 MCU를 UART 로 묶어서 통신이 가능하게 만들 수 있다. 그렇게 해서 한 번 어플리케이션을 만들었었는데.
오늘 간만에 이 회로를 활용하게 되어 정리해 본다.
'임베디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ADS131M02 SPI Communication words (0) | 2023.06.19 |
---|---|
24C02 clock Timing 맞추기 (0) | 2023.04.26 |
FreeRTOS - 3 (0) | 2023.01.03 |
FreeRTOS - 2 (0) | 2023.01.02 |
FreeRTOS - 1 (0) | 2022.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