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보기는 했어?

오늘 안됐다고 포기하지 말고 용기내서 내일 다시 해 보자.

반응형

pic 5

PIC16F1497 + I2C

PIC16F1497을 이용해서 MPU6050 자이로센서를 드라이빙하려고 했었다.MSSP2를 이용해서 해 보려고 했으나 자꾸 ACK를 체크할 때 에러가 났었다.일단은 프로젝트가 급해서 Port I/O를 이용해서 I2C를 구현했고, 데이터를 읽고 있다.읽는 것은 정상적으로 되지만 약간 느리긴 하다. 프로젝트를 종료 시키고 난 뒤에 다시 도전해 봐야겠다. Transmit는- SDA를 출력으로 설정- Clear SDA- Clear SCL- for(cnt = 0x80;cnt != 0;cnt>>=1){ if(TxData & cnt) Set SDA; else Clear SDA; Set SCL; Clear SCL;}SDA를 입력으로 설정Set SCLACK 체크Clear SCL Receive는- S..

PIC 2025.04.25

warning: (356) implicit conversion of float to integer

컴파일을 하다 보면warning: (356) implicit conversion of float to integerwarning: (373) implicit signed to unsigned conversion등과 같은 Warning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요즘 PIC를 이용해서 프로젝트를 진행 중인데 이런 것이 발생해서 어떻게 수정하나 고민하고 있었다.결론은 Type이 틀린 데이터를 저장하려는데에서 오는 경고인 것으로 보인다.integer에다가 float를 저장하거나, usigned에다가 signed를 저장하고자 할 때 나오는 경고이다.무시하고 할 수는 있으나 컴파일 결과가 지저분해 보여서 처리를 해 주려고 한다.그냥 간단하게 캐스트를 해 주면 사라진다. Mask = ((0xFF > ((8 - Bit..

임베디드 2025.04.19

PIC IO PORT Test

1. 개요 : I/O 포트를 테스트 해 본다. Port A와 B의 I/O 포트를 테스트 해 본다. Port A는 While 문 속에서 토글 시키고, Port B는 타이머 인터럽트를 발생시켜서 동작시킨다. 2. Main 함수 void main(void) { char i = 0; // 변수 설정 /* 16MHz 설정방법*/ IRCF1 = 1; // Configuration bit 설정 시 PLL을 ON 시켰으므로 IRCF0 = 1; // OSCCON 레지스터의 IRRCF1:0 비트를 11로 // 설정해서 Main Clock을 16MHz로 설정한다. while(ICSS==0); // ICSS가 셋 될 때 까지 기다린다. 0.5% 안정상태까지. /* 16MHz 설정완료*/ GPIO_Initialize(); //..

PIC 2022.12.23

MPLAB X IDE 설치 및 사용 준비

1. 개요 MPLAB X IDE V6.05를 이용한 PIC 프로그램을 다시 시작한다. 타겟 보드는 굿플 사의 RSWT Main PCB를 이용한다. 이 PCB는 PIC16F722A IC로 설계되어 있으며, SMPS가 내장되어 있으나 이 기능은 보류하고, 직접 5Vdc를 인가해서 테스트 한다. 디버거는 Pickit4를 이용하고, 컴파일러는 Microchip에서 제공하는 XC8을 이용한다. 우선 MPLAB X IDE를 이용한 프로젝트 만드는 방법을 진행하고, I/O, Timer, Interrupt등의 순서대로 진행한다. 2. Porject 초기설정 위의 아이콘을 클릭하여 MPLAB X IDE v6.05를 실행시킨다. 위와 같지는 않겠으나 IDE가 실행된다. 이제 프로젝트를 만들어보자. File – (New P..

PIC 2022.12.23

마이크로프로세서 제대로 공부하기

제목이 너무 거창한가??? 1999년 지도교수님께서 "실험실에 자리 만들어 뒀으니 들어와라."는 말씀에 그동안 공부해 오던 자격증 시험을 뒤로 하고 실험실로 들어갔다. 처음 접한 것은 8051이였다. 요즘에야 51시리즈가 내부 롬을 많이 가지고 있고 플래시 타입으로 사용이 되고, ICSP 기능이 있어 좋아졌다. 그러나 그때는 EPROM을 사용하고 있었고, 간혹가다가 EEPROM을 구하게 되면 그걸 사용했다. 물론 프로그래밍하고 테스트 하는데에는 시간이 좀 많이 걸렸었다. 모니터 프로그램이란 것을 그때 사용했었고, 그것을 이해하고자 시간을 많이 투자 했었다. 지금 돌이켜 보건데 순서가 있는듯 싶다. 1. 용어 익히기 ROM, RAM, PORT, Open-Drain, Pull-Up, Pull-Down, Ad..

임베디드 2022.11.05
반응형